분석방법 | 적용개념 | 특징/장단점 |
Impacted As-Planned Analysis (IAP) | 계획공정에 지연사건을 반영하여 예상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 | · CPM공정표를 활용하는 분석방법 중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임 · 지연사건별 분석, 전체지연 종합분석, 시계열적인 분석 가능 · 계획공정표의 불완전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이론적인 분석방법의 한계 |
Time Impact Analysis (TIA) | 지연 발생시점에서의 공기지연 영향력을 분석하는 방법 | · 현행 공기지연 분석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국제 분쟁환경에서 채택율이 높은 방식 · 지연 발생시점에서의 공정현황을 고려하며, 동시발생지연, 공정만회 등 복잡한 상황에 대한 분석 가능하나, 분석이 복잡하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됨 |
Time Slice Window Analysis (TSWA) | 주기적인 분석구간의 CP지연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방법 | · 주기적으로 보고된 업데이트 공정표에 기반하여 실제 발생한 지연을 대상으로 지연분석을 실시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분석방법임 · 공정만회 등 실제 작업상황을 고려하는 분석방법 · 실적 업데이트 공정표의 신뢰성이 확보가 필요함 |
As-planned vs As-built Window Analysis (APAB) | 계획공정과 실적공정의 Key Date를 비교분석 방법 | · CPM 공정표 없이 Bar-chart로 분석가능 · 주공정선의 계획과 실적의 Key Date 비교하여 결과 산정 · 분석과정에서 분석가의 주관이 개입되어 분석결과에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여지가 있음 · 동시발생 지연, 지연만회 노력에 대한 확인 어려움 |
Retrospective Longest Path Analysis (RLPA) | As-built CP를 정의하고 지연을 설명하는 방법 | · 실제 발생된 지연에 대한 책임일수 산정방법, CPM 공정표가 없어도 분석가능 · As-built CP 결정의 신뢰성 확보가 요구되며, 공사중 변화하는 CP를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음 |
Collapsed As Built Analysis (CAB) | 실적공정에서 일방의 지연을 제거하여 분석하는 방법 | · 계획공정이 없을 경우에도 분석가능 · 공사수행 정보에 근거하여 실제수행 Logic을 포함한 As-built Schedule 작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움 |
■ 분석방법 선정시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