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클레임 지원

HOME  >  현장클레임 지원  >  공기연장 클레임

해외 및 국내 약 150여개 현장의 건축, 토목, 플랜트 복합공사에 
대한 국내 최고 수준의 클레임 서류작성 및 자문실적을 기반으로

현장 공기연장 및 추가비용 클레임의 성공전략을 제공합니다.

해외 및 국내 약 150여개 현장의 건축, 토목, 플랜트 복합공사에 
대한 국내 최고 수준의 클레임 서류작성 및 자문실적을 기반으로

현장 공기연장 및 추가비용 클레임의 성공전략을 제공합니다.

공기연장 클레임

출처) 김영재, 김기현 著, 「건설공사 공기지연 클레임과 분쟁」 (한국건설관리학회, 2020년)
건설공사 수행과정에서는 발주자와 시공자, 그리고 공사 참여자들은 예기치 못한 사유들로 인해 적지 않은 지연사건들을 필연적으로 경험한다. 발생된 지연사건의 영향력이 심대해서 공기지연을 만회할 수 없을 경우에 해당 지연사건은 결국 전체공사의 공기연장 문제로 확대된다. 건설공사의 준공기일이 연장이 되면 발주자나 시공자 모두 현장관리비, 경비, 준공목적물의 운영착수 지연에 따른 운영수익 손실, 수요자로부터의 배상금 발생 등 경제적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국내외 주요 건설현장에서 대형 건설업체 뿐만 아니라 건설 전문업체들도 건설공사 수행 중에 발생한 각종 변경사항에 대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건설클레임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클레임의 대다수는 공기지연에 따른 추가비용 청구 및 지체보상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공기지연과 관련된 클레임을 계약당사자간에 협의함에 있어 합리적인 입증방법과 객관적인 평가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클레임이 적시에 합의되지 못지 못할 경우, 제3자를 활용한 조정이나 최종적으로는 법률대리인을 의뢰하여 소송이나 중재를 통해 클레임을 해결하게 된다.

분석방법 선정시 고려사항

  1. 공정자료의 확보 측면 : 분석기준 공정표, 실적공정표 여부, 정기 공정자료의 당사자간 관리여부
  2. 공기지연 분석시점 : 공기지연 클레임이나 분쟁을 제기하는 시점이 계약준공일을 지난 상황인지 아닌지의 여부
  3. 상대측의 클레임에 대한 분석역략 : 클레임 분석에 대한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
  4. 클레임의 상황 : 클레임이 초기에 협상자료로 활용될 것인지, LD부과나 분쟁을 앞두고 객관적으로 작성해야 하는지
  5. 충분한 EOT권한 확보 여부 : 객관적 분석을 통해 EOT권한을 명확하게 주장할 것인지, 권한이 부족할 경우에는 전략적 클레임 추진
CCA건설계약연구원 |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112-11, 재림빌딩 4층
사업자번호: 215-86-14847 | 대표전화: 02-353-6015 |
E-mail: cca@cca.re.kr
Copyright 건설계약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 admin
Design by 티제이웹